반응형
html은 정적인 문서이다. 이러한 html을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야 한다.
웹 브라우저는 브라우저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객체로 만들어서 제공해주는데 이것을 Object Model이라고 한다. 자바스크립트는 이러한 객체들을 제어해서 웹 브라우저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. 객체들은 서로 계층적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가장 큰 틀이 BOM과 DOM이 있다.
- DOM (document object modjel)의 document객체는 <body> 태그나 <img>태그 같은 웹 페이지에 있는 다양한 태그들을 객체로 제어한다.
- BOM(browser object model)은 현재 이 웹 브라우저가 가르치고있는 url을 알아낸다거나, 현재 웹 브라우저가 표시하고 있는 페이지를 reload 한다거나 또는 경고창을 띄우는 것들을 담당하는 객체이다. 이러한 기능들은 window 객체의 property들에 담겨 있다
- Javascript core는 브라우저나 node.js같은 여러 가지 것들을 제어할 수 있다. 하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자바스크립트는 이러한 것들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언어이고, 각각의 아키텍처들은 독립적이다. 즉 dom에서 제어하는 객체가 node.js에세 존재하니 않는 것과 같다.
반응형
'Language > Javascript (Typescrip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Tutorial(1): 자바스크립트 개요 (2) | 2020.03.01 |
---|---|
[Javascript] Ajax 통신 (0) | 2019.10.10 |
[Javascript] 이벤트(Event)에 관하여 (0) | 2019.10.10 |
[Javascript] DOM(document object model) (0) | 2019.10.10 |
[Javascript] BOM(browser object model) (0) | 2019.10.10 |